맨위로가기

에드워드 셀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셀저는 워너 브라더스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애니메이션 제작부 설립을 담당했으며, 후에 스튜디오 책임자로서 루니 툰 시리즈를 제작했다. 그는 척 존스와의 갈등, 프리즈 프렐렝과의 의견 충돌을 겪었지만, "트위티 파이"와 "향수 때문에"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타즈메이니아 데블 캐릭터 제작을 허용하고, 여성 아티스트를 적극적으로 영입하는 등 성 평등한 제작 환경을 조성했다. 1958년 은퇴 후, 1970년 사망했으며, 그가 제작한 수상작 애니메이션의 아카데미상 트로피는 제작진에게 나누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사망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1970년 사망 - 지미 헨드릭스
    지미 헨드릭스는 1960년대 후반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를 결성하여 혁신적인 앨범을 발표하고 파격적인 기타 연주 스타일을 선보이며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 1893년 출생 - 정인보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및 한국전쟁 시기에 활동한 사학자, 시조 작가, 교육자로, 민족주의 역사관과 ‘얼’ 사상을 형성하고, 연세대학교 강사, 동아일보 논설위원, 국학대학교 학장, 감찰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조선사 연구』 등의 저서를 남겼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893년 출생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 미국의 영화 프로듀서 - 라나 우드
    라나 우드는 미국의 배우이자 작가이며, 1956년 영화 《수색자》로 데뷔하여 1971년 영화 《다이아몬드는 영원히》에서 본드걸로 출연했고, 자서전을 집필했다.
  • 미국의 영화 프로듀서 - 스티븐 므누신
    스티븐 므누신은 골드만삭스 파트너, 헤지펀드 운영, 영화 제작 등 다양한 경력을 쌓은 미국 금융인이자, 트럼프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역임하며 감세 정책을 추진했지만, 원웨스트 은행 인수 과정에서의 논란과 정부 항공기 부적절 사용 논란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에드워드 셀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에드워드 셀저
원어 이름Edward Selzer
다른 이름Eddie Selzer
Isidore Selzer
출생일1893년 1월 12일
출생지할렘, 뉴욕
사망일1970년 2월 22일
사망지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국적미국
배우자로라 셀저
자녀필리스 셀저
로버트 셀저
직업영화 제작자
영화 홍보 담당
고용주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1930–1944)
워너 브라더스 카툰스 (1944–1958)
활동 기간1914–1958
경력
활동 분야영화 제작
홍보
기타
배우자와의 관계1927년부터 1970년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으며, 배우자도 같이 사망하였다.

2. 워너 브라더스에서의 경력

잭 L. 워너는 1944년 레온 슐레징거에게서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를 인수받은 후 에드워드 셀저를 스튜디오 책임자로 임명했다. 셀저의 첫 작품은 "골디락스와 재즈 곰들"이었다.[1]

척 존스는 자서전에서 셀저를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간섭하는 인물로 묘사하기도 했다. 하지만 훗날 셀저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였다고 회고하며, 둘은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셀저는 "루니 툰" 시리즈 프로듀서라는 직책을 자랑스러워했지만, 창작 과정에서 직원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프리즈 프렐렝은 셀저와의 의견 충돌로 사임 직전까지 갔으나, 셀저의 사과로 갈등을 해결하고, "트위티 파이"로 워너 브라더스 최초의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1948년 3월 20일 제2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셜리 템플에게서 "트위티 파이"의 단편 영화(만화) 부문 상을 받으면서 셀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I am very happy to receive this award. But I receive it for the entire Warner Bros. cartoon studio. It may interest you to know that 85 percent of our staff had a direct hand in the making of "Tweetie Pie." However, the man to whom I should take off my hat, who should be up here receiving this instead of me, is the director of this picture, 프리즈 프렐렝, who is sitting out in the audience. I cannot give him too much credit. Thank you.|이 상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하지만 저는 워너 브라더스 만화 스튜디오 전체를 위해 이 상을 받습니다. 저희 직원의 85%가 "트위티 파이" 제작에 직접 참여했다는 사실을 아시면 흥미로우실 겁니다. 하지만 제가 경의를 표해야 할 사람, 저 대신 이 자리에 있어야 할 사람은 이 영화의 감독인 프리즈 프렐렝입니다. 그는 관객석에 앉아 있습니다. 그에게 아무리 큰 찬사를 보내도 부족합니다. 감사합니다.영어[4]

셀저는 "향수 때문에"라는 페페 르 퓨 만화로 1949년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로버트 맥킴슨의 타즈메이니아 데블 캐릭터 제작을 금지했으나, 관객들의 인기에 힘입어 다시 허용했다.[5]

프리즈 프렐렝은 "낙타는 재미없다"는 셀저의 명령에 반발하여 "사하라 헤어"를 감독했다. 척 존스와 마이클 말테세는 셀저의 "투우에는 재미있는 것이 없다"는 선언에 대한 대응으로 "벅스를 위한 폭력"을 제작했다.[6]

셀저는 여성 아티스트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창작 과정에 참여시키는 등, 당시로서는 드물게 성 평등한 제작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2. 1. 초기 경력

1930년, 루이스 워너는 셀저를 설득하여 워너 브라더스에 합류하여 로버트 리플리의 "믿거나 말거나!(Believe it or Not!)" 시리즈 작업과 애니메이션 제작부 설립을 맡도록 했다. 대공황으로 인해 그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는 또한 "믿거나 말거나!"와 함께 리플리와 세계 일주 여행을 했다. 1933년 말, 그는 워너의 홍보 이사로 임명되었고, 1937년부터 1944년까지 예고편 및 제목 부서의 책임자를 역임했다.[1][2]

2. 2. 워너 브라더스 카툰

1944년, 레온 슐레징거에게서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를 인수받은 후, 잭 L. 워너는 에드워드 셀저를 스튜디오 책임자로 임명했다. 셀저의 첫 작품은 "골디락스와 재즈 곰들"이었다.[1]

척 존스의 자서전에는 셀저가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간섭하는 인물로 묘사되기도 했다. 하지만 척 존스는 훗날 셀저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였다고 회고하며, 둘은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셀저는 "루니 툰" 시리즈 프로듀서라는 직책을 자랑스러워했지만, 창작 과정에서 직원들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프리즈 프렐렝은 셀저와의 의견 충돌로 사임 직전까지 갔으나, 셀저의 사과로 갈등을 해결하고, "트위티 파이"로 워너 브라더스 최초의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1948년 3월 20일 제2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셜리 템플로부터 "트위티 파이"의 단편 영화(만화) 부문 상을 받으면서 셀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I am very happy to receive this award. But I receive it for the entire Warner Bros. cartoon studio. It may interest you to know that 85 percent of our staff had a direct hand in the making of "Tweetie Pie." However, the man to whom I should take off my hat, who should be up here receiving this instead of me, is the director of this picture, 프리즈 프렐렝, who is sitting out in the audience. I cannot give him too much credit. Thank you.|이 상을 받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하지만 저는 워너 브라더스 만화 스튜디오 전체를 위해 이 상을 받습니다. 저희 직원의 85%가 "트위티 파이" 제작에 직접 참여했다는 사실을 알면 흥미로울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경의를 표해야 할 사람, 저 대신 이 자리에 있어야 할 사람은 이 영화의 감독인 프리즈 프렐렝입니다. 그는 관객석에 앉아 있습니다. 그에게 아무리 큰 찬사를 보내도 부족합니다. 감사합니다.영어[4]

셀저는 "향수 때문에"라는 페페 르 퓨 만화로 1949년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로버트 맥킴슨의 타즈메이니아 데블 캐릭터 제작을 금지했으나, 관객들의 인기에 힘입어 다시 허용했다.[5]

"낙타는 재미없다"는 셀저의 명령에 반발하여, 프리즈 프렐렝은 "사하라 헤어"를 감독했다. 척 존스와 마이클 말테세는 셀저의 "투우에는 재미있는 것이 없다"는 선언에 대한 대응으로 "벅스를 위한 폭력"을 제작했다.[6]

셀저는 여성 아티스트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창작 과정에 참여시키는 등, 당시로서는 드물게 성 평등한 제작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6.25 전쟁 이후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던 한국 사회 분위기와도 일맥상통한다.

1958년 은퇴 후, 존 버튼이 워너 브라더스 카툰의 책임자가 되었다.

3. 주요 작품

원 프로기 이브닝

4. 수상

수상 연도시상식수상 부문
1948년제20회 아카데미 시상식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1950년제22회 아카데미 시상식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1956년제28회 아카데미 시상식단편 애니메이션 작품상


5. 죽음

에드워드 셀저는 1970년 오랜 투병 끝에 사망했다.[2] 사망 후, 그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다섯 편의 오스카 트로피 중 일부는 애니메이션 제작진에게 나누어졌다. 1957년 작품인 《새들의 익명성》의 트로피는 성우 멜 블랭크[7]에게, 《트위티 파이》와 《스피디 곤잘레스》의 트로피는 프리츠 프렐렝[8]에게 주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Kid From East Harlem: Some Early Traces of Eddie Selzer https://cartoonresea[...] 2021-03-29
[2]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Looney Tunes Producers: Schlesinger and Selzer https://cartoonresea[...] 2013-03-08
[3] Documentary Friz on Film https://www.youtube.[...] Warner Bros.
[4] 웹사이트 Year: 1947 (20th) Academy Awards Category: Short Subject (Cartoon) Film Title: Tweetie Pie http://aaspeechesdb.[...]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5-04-20
[5] 웹사이트 Bugs Bunny in "Devil May Hare" (1954) https://cartoonresea[...] 2017-05-03
[6] 간행물 Hollywood Esquire 1972-03
[7] 웹사이트 His family retains the remaining Academy Awards in their private collection. http://www.ochcom.or[...]
[8] 뉴스 Cartoonist Friz Freleng dead at 89 https://fultonhistor[...] 1995-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